-
반응형
주식은 유가증권의 한 종류입니다. 유가증권은 '재산적 권리를 표시한 증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재산적 권리에 관한 증서로서 주식은 주식회사의 주인이 되는 지분을 뜻합니다. 주식은 주인의 몫이기 때문에 회사의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참여권을 가지게 돱니다.
주식 보유자는 회사의 주인으로서 해당 회사의 자본에 투자한 지분만큼 참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는 정기적으로 결산을 해서 이익을 배당하는데, 이 때 주주가 회사에 대해 갖는 권리 중 하나가 '배당'입니다.
배당이란?
배당은 자기자본을 출자한 주주들에게 출자에 대한 보상으로 지급하는 현금이나 기타 자산을 말합니다. 보통 기업은 순이익을 배당금과 유보이익으로 배분하는데, 유보이익은 배당하지 않고 기업에 남겨서 재투자하게 됩니다.
배당은 현금이나 주식으로
사업을 시작할 때 본인의 자금으로만 투자하기 어렵다면 자금을 빌리게 됩니다. 자금을 조달한 형태에 따라 부채 또는 자본이 됩니다. 주인 몫이라면 자본, 채권자의 몫이라면 부채가 됩니다. 이를 합해서 기업의 자산으로 기록됩니다.
사업이 잘 되었다면 가장 중요한 자산 중 하나인 현금이 늘어나게 됩니다. 결산 후에는 회사의 주인인 주주에게 배당을 하게 되는데, 현금으로 줄 수도 있고, 주식으로 줄 수도 있습니다. 주로 성장성이 좋은 기업은 현금을 다시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므로 주식배당을 선호하기도 합니다.
배당이 꾸준하다는 것은 사업 변동성이 낮고, 회사의 재무구조가 양호하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배당이 늘어나는 것은 주가에 호재인 경우가 많습니다.
배당은 언제?
일반적으로 연 1회의 결산기를 정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다만 이사회 결의로 연 1회에 한해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고 상법에서는 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장회사는 분기마다 배당을 할 수도 있습니다.
주식투자수익은 매매차익이 전부가 아닙니다. 저금리시대에 은행이자를 능가하는 우량회사의 배당가치가 더욱 돋보이고 있습니다.
반응형'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공매도(Short Selling)란 무엇일까? (0) 2021.01.06 [주식] 시장경보제도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 (0) 2021.01.05 [주식] 사이드카 뜻은? 프로그램매매 관리제도 (0) 2020.10.26 [주식] 시장관리제도 : 매매거래 정지(CB), 변동성완화장치(VI) (0) 2020.10.11 [주식] 유상증자의 종류 : 주주배정증자, 3자배정증자, 일반공모증자 (0) 2020.10.09